<HKL 세정가 소식>300만 사업자, 10월 25일 까지 부가가치세 예정 신고‧고지 납부,

지난해 대비 5만 명(예정고지 3만 명, 예정신고 2만 명) 증가

통합조회 서비스, 자기검증 서비스 확대로 신고편의 한층 강화

민원신문

minwon@xn--z92b1nw4ogle.kr | 2024-10-08 08:46:18

 

 

 

 

 

 

<HKL 세정가 소식>

(예정고지)개인 일반과세자 221만 명과 소규모 법인사업자1) 17만 명, 238만 사업자에게 국세청에서 예정고지서2)를 보내 드리니 1025()까지 납부하시기 바랍니다.

1) 직전 과세기간(’2416) 공급가액 합계액 15천만 원 미만인 법인사업자

2) 직전 과세기간 납부세액의 1/2에 해당하는 세액을 고지

 

예정고지* 세액이 50만 원 미만인 경우 예정고지서를 발송하지 않으며, ’25.1월 확정신고 기간(’25.1.11.27.)에 신고·납부하여야 합니다.

* (경로) 홈택스세금신고부가가치세신고신고도움자료조회예정고지 대상자 조회

 

다만, 사업이 부진*하거나 조기환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예정신고를 할 수 있으며, 이 경우 예정고지 세액은 취소됩니다.

* 휴업 또는 사업 부진 등으로 ’2479월의 공급가액 또는 납부세액이 직전 과세기간의 공급가액 또는 납부세액의 1/3에 미달하는 사업자

 

(예정신고)법인사업자 62만 명은 2024년 제2기 예정(’24.7.1부터 9.30.까지 사업실적) 부가가치세를 1025()까지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.

 

국세청이 제공하는 홈택스 통합조회 서비스’, ‘미리채움 서비스’, ‘자기검증 서비스’, ‘신고도움 서비스를 이용하면 정확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 

(신고편의) 부가가치세 통합조회 서비스* 항목에 신용카드사를 통한 대리납부 세액을 추가(기존 1718)하였으며, 신고서 주요 항목을 바로 조회하여 채울 수 있는 미리채움 서비스(24)를 이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.(참고2)

* 부가가치세 신고에 필요한 과세정보 등을 하나의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(경로) 홈택스세금신고부가가치세신고신고도움자료조회신고자료 통합조회

- 신고과정에서 신고 오류를 자기검증 할 수 있는 서비스에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세액공제를 잘못 입력한 경우를 추가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.

- 사업 실적이 없는 경우에는 손택스(모바일)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 

(신고도움)부가가치세 성실신고에 도움이 되도록 홈택스 신고도움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공통·개별 도움자료를 제공(팝업창 안내)합니다.

*(경로)홈택스 세금신고 부가가치세신고 신고도움서비스 | 신고 도움자료 주요 안내 항목 |공 통도움자료□ 「모든 사업자에게 제공되며 소규모 사업자가 실수하기 쉬운 사례 위주로 안내

(신고 유의사항) 잘못 신고하거나 실수하기 쉬운 사례 (과거 신고내역) 최근 2년간 신고내역·부가가치율, 동일업종 매출·매입 분석자료(기타 안내사항) 세법개정내용, 세법해석사례, 대법원 주요판례개 별도움자료

□ 「20만 사업자」*에게 납세자 특성에 따른 맞춤형 도움자료를 추가로 제공(건설업) 아파트 전기공사, 배관공사 등 시설공사 관련 매출 성실신고 안내(음식업) 배달앱 플랫폼을 통해 판매한 음식 매출 성실신고 안내(도소매) 온라인쇼핑몰 등 전자상거래를 통한 상품 매출 성실신고 안내 등 *(’232기 예정) 61, 19.3만 명 (’242기 예정) 64, 20.5만 명(6%)

- 신고 오류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신고 도움자료를 반드시 조회한 후, 도움자료를 반영하여 신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(세정지원) 기업의 자금유동성 제고 및 수출·투자지원을 위해 수출·중소기업 등이 1025일까지 조기환급 신고(첨부서류 포함) 시 환급금을 조기지급* 하고 *부당환급 혐의가 없으면 법정지급기한(11.9.) 보다 5일 앞당겨11.4.까지지급

 

재난·재해 또는 사업에 현저한 손실 등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자가 납부기한 연장 신청 시 최대 9개월까지 지원합니다.

(참고3) * 납부기한 연장은 세무서 방문 없이 홈택스, 손택스, 우편으로 신청할 수 있음

 

(신고검증)신고 후에는 개별 도움자료반영 여부 등 신고내용을 분석하여 불성실 신고자에 대해서는 신고내용확인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(참고4)

 

성실신고가 최선의 절세라는 인식을 가지고 제공해 드린 신고 도움자료를 참고하여 성실하게 신고하여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.

[ⓒ 민원신문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